가배도 남대문시장점
서울, 중구 • 카페
‘아기 돼지 삼 형제’ 막내 돼지 집
-
늑대의 위협으로부터 아기 돼지 삼 형제가 각자의 건물을 지어 스스로를 보호하려다, 끝에 마지막 형제의 집에서 살아남는 이야기이다. 어린 시절 그 이야기를 읽어주던 사람이 어찌나 실감 나게 읽어 주던지 그 당시 나에게 그 동화책을 읽는 것은 지금의 나에게 IMAX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는 것과 같았다. 아주 실감 났었고, 생생한 무서운 이야기였다.
-
그런 만큼 가끔 길에서 옛집 근처의 향이 날 때면 이 이야기가 떠오르기도 한다. 나이를 먹고 지식을 먹다 보니 그 이야기가 생각날 때면 이제는 전혀 다른 이야기 전개를 상상하곤 한다.
-
마지막에 지은 막내의 벽돌집은 천장이 어땠을까?
-
원작의 경우 배경이 한국이 아니다 보니 분명 그들의 양식을 띄고 있겠지만 한국에서 번역되어 나오는 그림책의 경우는 ‘한국에서 있었던 양식을 이용하여 그려야 하는 걸까?’라며 엉뚱한 상상을 하곤 한다. 그렇게 상상을 할 때면 떠오르는 구성이 있었다. 벽돌에 목구조를 섞었다면 좀 더 빨리 늑대가 타고 오기 힘든 높이의 집이 완성이 됐을 거라고.
-
그 상상만 하던 양식이 실제로 있었다.
-
나도 실제로는 처음 본 양식이다. 오래전 적산가옥을 공부하며, 꽤 여러 근대 한국 건축의 양식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고 생각했다. 하나씩 현존하는 것들을 찾아가 보기도 했다. 그런데 이렇게 잘 남아 있는 근대 건축물의 양식을 보니 세삼 놀라웠다.
-
그 양식의 이름은 ‘한양 절충식’이라 한다. 1910년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건물은 적벽돌을 쌓아 올리는 조적[벽돌조]건물에 목구조는 지붕을 만드는 방식 그리고 그 위에 계량 기와 혹은 기와를 올린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에도 이 남대문 일대에 지어진 한양 절충식 건물은 끝까지 일본인들에게 빼앗기지 않고 조선인의 소유였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
이후 이 공간은 2016년까지 건축적 역사적 가치가 대단한지 알지도 못한 채 남대문로 쇼핑센터 입구 앞에 남겨져 있었다. 그 가치를 알아본 학자들과 시는 주인이었던 흥국생명의 동의 얻어 이곳을 역사적 가치가 있는 건물임을 드러내는 리모델링 작업을 한다. 모두가 함께한 잘한 일이다. 오래된 건물 그리고 세월이 흐르며 사라진 건물의 양식을 복원하는 작업이었다. 그렇게 공간이 한옥 카페로 이용되다
-
지금은 유명한 카페 브랜드의 ‘가배도’의 남대문점으로 이용되고 있다. 사뭇 어울리는 조합이다. 1910년 고종이 양위하고 3년 뒤의 이야기이며, 당시 조선은 커피를 ‘가배’라고 불렀으며, 고종이 즐기기도 했던 음료이다.
-
그런 역사 문화적 배경과 함께 이 공간을 들여다보면 공간의 근사한 아치형 입구를 들어서자마자 과거 시대극으로 내 몸과 마음을 옮겨간다. 특히나 거대한 목구조로 만들어진 이층의 공간은 그 양식이 잘 살아있어 오래전 지어진 공간의 감상을 잘 느낄 수 있다. 이런 양식의 경우 1층의 상가로 2층은 상가 주인의 주거 공간으로 이용됐다는 기록이 있는 만큼. 이 공간이 과거에 어떻게 쓰였을지 주인장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꽤 근사하다.
-
가배도는 이 공간에 8번째 공간을 들여오면서, 이 역사적 맥락을 잘 살펴보려 비교적 근대의 다과를 시장에서 팔던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우리네 어린 시절 사탕 트럭 아저씨가 바구니에 담아 팔던 ‘유가’부터 시작해 어린 시절 젊었던 할아버지 주머니에서 나오던 ‘스카치 사탕’까지 다양한 종류도 준비되어있다.
-
역사적 가치가 있다고 해서 완전한 쓰임 없는 박물관처럼 방치할 것이 아니라 나는 이렇게 현대에서 주목하는 브랜드가 오래된 공간에 알맞게 들어가, 현대인들이 이 공간의 역사적 배경과 과거의 장면들을 몸소 체험해 역사 문화적 시민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런 맥락에서 이 공간은 다양하고 고차원적인 경험을 줄 수 있다는 생각에 아주 즐거운 경험을 남겨줄 공간이라 소개한다.
-
이곳은 가배도의 8번째 공간 가배도 남대문시장점 이다.
-
위치 _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11
-
영업시간 _ 08~21 [토,일 11~21]
-
애견 동반 가능
-
주차 불가
-
메뉴 첨부합니다.
화요일: 오전 8:00 ~ 오후 8:30
수요일: 오전 8:00 ~ 오후 8:30
목요일: 오전 8:00 ~ 오후 8:30
금요일: 오전 8:00 ~ 오후 8:30
토요일: 오전 8:00 ~ 오후 8:30
일요일: 오전 11:00 ~ 오후 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