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Trip Logo

감도 깊은 공간 추천, 데이트립앱에서 더 빠르게

DayTrip Text Logo

방주교회

제주도, 서귀포시 • 오락

Image of 방주교회 located at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특별자치도 안덕면 산록남로762번길 113Image of 방주교회 located at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특별자치도 안덕면 산록남로762번길 113Image of 방주교회 located at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특별자치도 안덕면 산록남로762번길 113Image of 방주교회 located at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특별자치도 안덕면 산록남로762번길 113Image of 방주교회 located at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특별자치도 안덕면 산록남로762번길 113Image of 방주교회 located at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특별자치도 안덕면 산록남로762번길 113Image of 방주교회 located at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특별자치도 안덕면 산록남로762번길 113Image of 방주교회 located at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특별자치도 안덕면 산록남로762번길 113Image of 방주교회 located at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특별자치도 안덕면 산록남로762번길 113Image of 방주교회 located at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특별자치도 안덕면 산록남로762번길 113
Profile image of architechu

방주를 타면 자연재해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
‘*노아는 하느님의 명령에 따라 배를 만들고 가족과 정결한 짐승 암수 일곱 마리씩, 부정한 짐승 암수 한 마리씩, 그리고 새 암수 일곱 마리씩을 싣고 밀어닥친 홍수를 피하였다. [*창세기 인용]’ 유명한 이야기이다. 기독교인 비기독교인 모두 들어본 이야기이다. 노아의 방주, 타락한 인류를 벌하기 위해 대홍수로 벌하려 했고, 착하게 살던 ‘노아’에게만 특별한 계시를 주어 여러 동물과 함께 살아남을 수 있도록 방주를 만들게 했다는 이야기. ‘권선징악’이라는 큰 틀 아래 이 이야기는 종교를 떠나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아온 이야기이다.
-
그러나 작자는 이 이야기에서 역시나 ‘방주’에 가장 관심이 간다. 길이 135m, 폭 50m, 높이 13.5m였다는 방주. 창세기 6장 14~16절에 그 크기가 기록되어 있다. 그러니까 이것을 지금 현대 사회의 공간과 따져 본다면 약 40층짜리 판상형 아파트가 땅에 누워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미국의 민속화가 ‘에드 우드 힉스’의 ‘노아의 방주’라는 그림을 보면 얼추 그 스케일에 맞춰 그 방주에 대한 상상도를 그려 뒀는데, 흥미롭게 생겼다. 3층짜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박공지붕의 긴 건물이 배 위에 올라타 있다. 그리고 그 배로 여러 동물 쌍이 줄지어 배를 타고 있다. 창문은 규모보다 아주 작게 난 편이다. 아무래도 대홍수이다 보니, 혹시나 물이 새어들어 올 곳을 최소화하며, 최소한의 환기와 빛 환경을 조성하려 한 거 같다. 그중에 유독 눈에 띄는 것이 있다면, 전면부 상층에 창문이 4개가 십자가의 끝점들 위치로 뚫려 있다는 것이다. 이 창문의 위치로 보아 이곳은 방과 복도가 있다기보단 예배당과 같은 구조로 내부가 구성되어있을 거라는 가설을 세워볼 수 있다.
-
그리고 그 가설은 오늘의 공간에 보인다.
-
이름부터 방주 교회이다. 기록에 따른 규모 정도는 아니지만, 그 비율과 비례는 그것을 따왔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박공지붕의 형태와 물 위를 떠다닌다는 이야기를 그대로 시각화했다. 더군다나 전면부에 배치된 창은 예배당임을 예측할 수 있다. 위 화가의 그림처럼 말이다.
-
다른 점은 이 방주는 본디 배를 빼고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했는데, 이곳은 지상으로 한 층만이 존재한다. 대신 지하실이 있으니 그 부분을 배로 보는 것이 맞을까 싶다. 비례만 따르고 규모는 줄여 왔으니 내부는 당연 한 층으로 구성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잣나무로 만들었다는 그 기록을 신경 쓴 것인지 건물의 외관은 나무 살로 마감이 되어있다. 그리고 배를 타고 들어가는 그 길까지 정원 부의 돌다리를 통해 경험할 수 있다. 이 공간은 이런 시퀀스를 담고 있다.
-
각설, 공간을 전부 쭉 돌아보며 상상해 보았다.
-
우리가 과연 타락하게 살고 있었고, 절대자가 있어 우리를 벌하려 했다면? 우리가 절대자의 힘에 대항하여 살아남을 수 있는 공간이 있을까? 그러니까 좀 더 디테일하게 상황을 설정해 보건대, 이번엔 홍수가 아니라 ‘대지진, 화산폭발, 허리케인, 토네이도, 쓰나미’ 등 감당 안 되는 자연재해로 우리를 벌하려 한다면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는 안전이 확보된 공간이 존재할까?
-
없다. 불가능하다. 우리가 지구를 떠나지 않는다면 불가능한 이야기다.
-
하지만 디테일하게 설정한 저 상황은 어쩌면 지금 다고 오고 있는 이야기이다. 모두 몸으로 경험해 보지 않았던가? 단순하게 ‘이상기후’라고 칭하며 그 간단한 단어 구성만큼 경각심을 주지 못하는 작명보다. 현실로 우리는 그 경각심을 경험으로 알고 있다. 이것은 사실 매우 심각한 이야기다. 누구 하나 잘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정말 일상으로 비유하자면 ‘대학교 신입학 1학년들 전원 100명 정도가 모두 각자 맡은 바 역할을 잘해 하나의 피피티를 만들고 발표를 하는 팀 과제다.’ 그러니 손을 놓을 수밖에 없다. 4명도 힘든데, 100명 사실은 60억 명 팀플레이라니. 그러나 티끌 모아 태산이라고 했던가? 100명이 한 장씩만 성실히 만들어도 100장의 이야기를 할 수 있다. 그러니 맡은 바 위치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보는 거다. 힘닿는 만큼 해보는 것이 중요할지도 모른다.
-
이 상징적인 공간이 과거에 있었다고 기록된[사실은 없었다고 공인했다 합니다.] 이야기를 통해 지금 우리의 삶을 비추고 있는 것은 아닐까? 란 생각을 했다.
-
이곳은 인류의 책임을 묻는 상징의 공간 #방주교회 이다.
-
위치 _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산록남로762번길 113
-
주차 가능
-
예배당 방문 가능 시간 _ 09~17시
-
PS. 위 공간은 제주 특별자치시 코로나 방역 지침에 따라 공간을 운영중입니다. 그리고 건물 마당 건너편에 카페가 있습니다. 건물도 보고 햇빛드는 곳에서 커피도 한잔할 수 있어 보이네요! 참고하시어 공간 이용에 불편함이 없길 바랍니다.

상세정보
pin-location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특별자치도 안덕면 산록남로762번길 113복사
share-opening
월요일: 휴무일
화요일: 휴무일
수요일: 오전 6:00~7:00
목요일: 휴무일
금요일: 휴무일
토요일: 휴무일
일요일: 오전 9:30 ~ 오후 12:00
주변 공간
Image of 수풍석 뮤지엄 located at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상천리 79Image of 본태박물관 located at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특별자치도, 안덕면 산록남로762번길 69Image of 핀크스 골프클럽 located at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특별자치도, 안덕면 산록남로 863Image of 두손미술관 located at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상천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