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Trip Logo

감도 깊은 공간 추천, 데이트립앱에서 더 빠르게

DayTrip Text Logo

수연산방

서울, 성북구 • 카페

Image of 수연산방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성북로26길 8Image of 수연산방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성북로26길 8Image of 수연산방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성북로26길 8Image of 수연산방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성북로26길 8Image of 수연산방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성북로26길 8Image of 수연산방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성북로26길 8Image of 수연산방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성북로26길 8Image of 수연산방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성북로26길 8Image of 수연산방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성북로26길 8Image of 수연산방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성북로26길 8
Profile image of architechu

운암산방, 이곳은 문인들의 얼이 서린 곳

성북동, 가을이면 꼭 찾는 두 곳 중 하나이다. 역사문화 유적의 도시조직이기도 한 이곳을 정처 없이 걷다 보면 이런 공간들을 쉬이 마주 할 수 있다. 이곳은 과거 문인들이 문학을 탐구하던 곳. 더욱이 한옥에서 ‘누마루’는 가장 계절을 잘 담는 곳이다. 그렇담 가장 아름다운 계절이 담겼을 때를 봐야 하지 않을까? 따뜻한 차와 함께 사색의 시간을 가지기에 참 좋은 곳이다.
-


1933년, 9명의 문인은 이 집에서 문학을 논했다.
-
그 9명 중 우리가 정말 잘 아는 사람이 있다면, ‘유리창’을 쓴 정지용 시인이다. 이 집은 구인회 중 한 명인 상허 이태준 작가의 가옥이다. 양식은 개량한옥이다. 工형으로 입구에서 왼편으로는 건넌방이 오른쪽으로 본채가 있다. 작은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이 공간의 특징은 안방에서 튀어나온 ‘누마루’가 있다는 것과 주방과 화장실이 한쪽으로 배치되어 한옥치고는 기능적 실들이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더군다나 이 누마루에서 즐기는 정원의 풍경은 아름답다.
-
역사 유적지인 줄 알고 찾았던 공간이다. 간단하게 들러 어떤 사람이 언제까지 어떻게 살았는지 눈으로만 볼 수 있는 줄 알고 갔었다. 참으로 사람일 모른다는 것이 유적지를 찾아왔더니 번호표를 뽑으라 한다. 그것도 카카오톡으로 웨이팅 순번을 알려준다. 신기하다. 요즘은 이런 작은 유적지도 참 인기가 많다고 하던 찰나, 안에서 왁자지껄한 소리가 들린다. 잠깐 문밖에서 바라본 내부의 풍경은 환상이었다.
-
고즈넉한 한옥[개량한옥]에 아름다운 정원이 있었다. 그 정원에서는 사람들이 자연경관과 함께, 날씨와 함께 다과를 즐기고 있었다. 그저 박물관 같은 유적지 인 줄로만 알았는데, 꽤 근사한 다과를 즐기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심지어 사람도 많다. 옥외 공간도 툇마루부터 정원 중심부 정자까지 다양한 자리가 있었다. 옥외 공간에서 차를 즐기기 위해 여기저기 모기향을 피워 두었는데, 그 연기마저 아름다운 통에서 흘러나온다. 여러모로 기분이 좋았다. 영업하기 위해 최소한 실용을 위해 건든 흔적도 몇 보였지만 가능한 원본을 살려 두려는 의지도 함께 보인다. 특히나 이런 작은 규모의 한옥에서 누마루가 나와 있는 것이 참 신기했다.
-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보통 선비들의 공부를 하는 곳이었으니 아마 이곳에서 토론하지 않았을까? 넘겨짚어 본다. 한국 단편소설의 큰 획을 그었던 선생님의 집이며 유명 문인들의 토론방이었다. 너무 궁금했다. 몇 초간 살펴본 장면에서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얼른 돌아 나와 기다리기를 몇 분이 흘렀을까. 나는 오로지 저 ‘누마루’만을 생각하고 있었다.
-
직원의 안내에 따르면 3곳의 자리가 준비되어 있었지만, 그 후보에 누마루 자리는 없었다. 그러나 가능한 누마루와 바로 붙어있는 안방의 자리를 고를 수 있어 그리했다. 뒤 돌아보는 누마루의 내부는 안방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오래되어 보이는 나무 단상과 서랍. 창으로 들이치는 햇빛이 오래된 나무와 만나 보이는 장면이 너무나 아름다운 곳이었다. 이곳 가옥에서 집필된 글 중에 우리가 아는 것이라면 ‘황진이’ 정도가 익숙한 것이겠지만 그래도 오래전 한국문학의 한 획을 그은 분이 공부를 하던 공간이라 생각하니 가슴이 웅장해졌다. 그리고 나머지 8분과는 이곳에서 어떤 이야기를 나눴을지 상상을 해보았다.
-
헛기침해가며 점잖게 한 수 한 수 바둑을 두듯 말을 이어 가셨을지? 아니면 지금의 우리처럼 동네 술집에 앉아 어떤 게 더 좋을까? 하며 서슴없이 이야기했을지 말이다. 참 재미난 생각이었다. 작가라고 하는 직업의 고정관념이 있다면 ‘어딘가 점잖음’이라고 하지만 나는 그것을 전혀 믿지 않는다. 사람이 직업에 따라서 보이는 모습을 바꾼다는 것이 내게는 참 아쉽기 때문이다. 여하튼 재미난 상상은 그렇게 지나간다.
-
이윽고 주문한 메뉴가 나왔다. #단호박범벅 팥빙수이다. 어린 시절부터 작자가 유별나게 좋아해, 어머니가 자주 데려가 먹였던 팥빙수. 지금도 많이 좋아한다. 열이 많은 사람이라 아직은 더워, 빙수라는 단어에 단박에 선택한 것 같다. 더욱이 종이 메뉴판이 아녀서 다시 스크롤을 올려 다른 메뉴를 살펴보기 싫었던 이유도 조금은 있다.
-
자극적이지 않은 삼삼한 맛의 팥빙수. 단호박도 인위적인 단맛은 전혀 없다. 우유 빙수에 올라간 단호박 범벅과 팥앙금. 약간의 떡과 함께 뿌려져 나온 과하지 않은 연유까지 어릴 때 즐겨 먹던 그 맛의 상위호환 버전 같았다. 한입에 마음이 녹아서였을까? 추억에 빠져 마구잡이로 입에 넣으며 먹는다. 찬 기운에 된통 혼나기도 했지만 누마루에 들이치는 빛처럼 아름다운 시간으로 남았다.
-
과거의 공간이 현대에서 그 모습을 가능한 한 지켜가며 다시 생기를 머금고 있다는 것은 언제봐도 감사하다. 어쩌면 이곳이 한국이 가질 유일함이자 높은 문화를 알리는 중요한 공간이 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

이곳에서 오래전 9명의 문인이 한국의 문학을 이끌었고, 지금은 수없이 많은 이들이 문화를 만들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
이곳은 성북동에 위치한 한옥 카페 * #수연산방 이다.
-
*수연산방=여러 사람이 모여 산속의 집에서 책을 읽고 공부한다.
-
위치 _ 서울 성북구 성북로26길 8
-
주차장 있습니다.
-
영업시간
-
평일 11:30~18:00
주말 11:30~22:00 [18~19시는 브레이크 타임]
월, 화 휴무
-
메뉴 일부만 첨부합니다. 가격대를 알기에는 충분한 사진이지 싶습니다.
-
PS. 본 공간은 수도권 코로나 방역지침에 따라 공간을 운영중 입니다. 참고하시어 공간 이용에 불편함이 없길 바랍니다. 카메라로는 담기 힘든 곳입니다. 눈으로 보시는 게 훨씬 아름답습니다.

상세정보
pin-location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성북로26길 8복사
share-opening
월요일: 휴무일
화요일: 휴무일
수요일: 오전 11:30 ~ 오후 5:50
목요일: 오전 11:30 ~ 오후 5:50
금요일: 오전 11:30 ~ 오후 5:50
토요일: 오전 11:30 ~ 오후 9:50
일요일: 오전 11:30 ~ 오후 7:40
주변 공간
Image of 프럼크릭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232-7Image of 간송미술관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Image of 선잠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56Image of 금옥당 성북점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21길 17 1 2층Image of 대양역사관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13-32Image of 리홀뮤직갤러리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31길 9Image of 문화식당 성북동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122-7Image of 길상사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선잠로5길 68Image of 밀곳간 located at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18길 19